반응형 소크라테스2 플라톤의 동굴 우화가 내포하는 국가론 플라톤의 동굴 우화가 내포하는 국가론 플라톤은 스승이었던 소크라테스를 등장인물로 삼아 자신의 철학 사상을 글로 펴냈다. 국가론은 소크라테스와 제자 사이 오가는 대화 형식으로 쓰여 있다. 안을 원히 비추는 빛이 들어올 수 있게 열려 있고 통로가 긴 지하 동굴에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해보자. 그들은 어린 시절부터 오직 앞만 보도록 다리와 목이 묶여 있고 몸이 고정되어 있어서 고개를 돌릴 수 없다. 이 내용은 플라톤의 국가론 중 일부이다. 국가론에 나오는 위에 소개한 유명한 구절은 소크라테스가 동굴에 갇힌 사람들이 벽에 투영된 사물의 그림자만 볼 수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장면이다. 사람들은 등 뒤에서 불이 타오르는 동안 정면을 바라볼 수밖에 없고, 불 앞에 놓였는 사물들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그림자를 만들어.. 2022. 11. 4. 철학자 '플라톤' 이데아론 철학자 '플라톤' 이데아론 플라톤(기원전 427~347)은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한 부유한 가정에 태어났다. 그와 같은 신분을 지닌 젊은 아테네인은 대게 정치에 입문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하지만 플라톤은 스승인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의 길을 따라 철학자가 되었다. 플라톤의 철학 저서에는 두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철학 문제에 대해 대화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부분 소크라테스와 대화하는 것들이다. 플라톤은 전혀 대화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학자들은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말하고 있는 내용 가운데 얼마만큼 이 플라톤 자신의 생각인지 그리고 얼마만큼 이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역사적으로 정확하게 설명한 것이고 후반부는 플라톤 자신의 생각을 펼칠 목적으로 소크라테스를 문학적 인물.. 2022. 11. 2. 이전 1 다음 반응형